브루너의 수학 학습 심리학 (Bruner's Theory of Mathematics Learning Psychology)은 수학 학습의 심리학적 측면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가 1960년대에 제안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수학 교육과 학습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학습자의 수학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원칙을 제시합니다. 그 이론중 지식의 구조와 발견학습 그리고 EIS이론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1. 지식의 구조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에 관한 이론은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고 이해하는지에 대한 핵심 개념을 다룹니다. 이 이론은 학습자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학습자가 지식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구성주의 관점 (Constructivist Perspective): 브루너의 이론은 구성주의 관점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것은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하고 활용하는 주체적 역할을 강조합니다.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를 이미 보유한 지식과 연결하며 이해하고 학습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지식을 확장하고 개선합니다.
- 흡수적 학습과 활용적 학습 (Enactive, Iconic, Symbolic): 브루너는 학습 과정을 "흡수적 학습(Enactive Learning)," "아이코닉 학습(Iconic Learning)," 및 "심볼릭 학습(Symbolic Learning)"의 세 단계로 설명했습니다. 흡수적 학습에서는 실제 경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며, 아이코닉 학습 단계에서는 이미지나 그림을 사용하여 학습이 진행됩니다. 심볼릭 학습은 추상적인 기호와 언어를 활용하여 지식을 구축하는 단계를 나타냅니다.
- 구조의 발견 (Discovery of Structure): 이 이론은 지식의 구조를 발견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학습자는 정보를 조직하고 패턴을 발견하며 지식의 구조를 이해합니다. 이러한 구조의 이해는 지식의 장기적 보유와 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문제 해결 (Problem Solving): 브루너의 이론은 문제 해결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문제 해결은 학습자가 지식을 현실적인 맥락에서 적용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강화합니다. 문제 해결 능력을 통해 학습자는 추상적인 개념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 브루너는 학습자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구축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다른 사람과의 토론, 협력적 학습, 그리고 지식을 공유하면서 학습자는 여러 관점과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며 자신의 지식을 발전시킵니다.
- 성장과 발달 (Growth and Development): 브루너의 이론은 학습자의 발달과 성장을 고려합니다.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교육 방법을 조절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 이론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이 이론을 활용하면 지식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실제 상황에서 지식을 적용할 수 있게 됩니다.
2. 발견학습
브루너의 발견학습 이론(Discovery Learning)은 교육 심리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지식을 학습자가 스스로 찾아내고 이해하도록 하는 학습 방법을 강조합니다.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은 이 이론을 발전시켰으며, 그의 관점에 따르면 학습자는 주체적으로 환경을 탐구하고 개념을 발견함으로써 지식을 구축합니다.
- 주체적 학습 (Active Learning): 브루너의 발견학습 이론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학습 환경을 탐구하고 조사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학습자는 정보를 주어진 상황에서 스스로 찾아내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 문제 해결과 탐구 (Problem Solving and Inquiry): 학습자는 주어진 문제나 상황을 해결하며 새로운 개념과 관련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축합니다. 브루너는 학습자에게 문제 해결을 장려하고 지식을 탐구하도록 돕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 환경과 상호작용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브루너은 학습자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을 중시합니다.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는 주어진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작용하면서 개념을 이해하고 발견합니다.
- 구성주의 학습 (Constructivist Learning): 브루너의 발견학습 이론은 구성주의 관점을 강조합니다. 학습자는 새로운 정보를 이미 보유한 지식과 연결하여 개념을 구축하고 이해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지식을 확장하고 조정함으로써 더 나은 이해를 얻습니다.
- 문제의 복잡성과 조정 (Complexity and Scaffolding): 브루너는 학습자의 능력 수준을 고려하여 문제의 복잡성을 조정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론에 따르면 학습자가 어려운 문제를 다룰 때는 적절한 지원과 안내가 필요하며, 이것을 "지지 구조화(Scaffolding)"라고 불립니다. 교사나 다른 전문가가 학습자의 능력에 맞는 지원을 제공하여 학습을 진행시킵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 발견학습은 개별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나 교사와의 대화, 토론, 그리고 협력을 통해 지식을 공유하고 발전시킵니다.
브루너의 발견학습 이론은 학습자의 관찰, 탐구,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학습자가 지식을 보다 깊이 있는 방식으로 이해하고 지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 이론은 교육 분야에서 학습과 가르침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법을 지지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EIS이론
EIS(Education as an Interaction System) 이론은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이 제안한 교육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교육을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강조하는 것을 중심으로 합니다. EIS 이론은 교육 과정과 학습 경험을 분석하면서 교육의 본질을 탐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교육을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이해: EIS 이론은 교육을 교사, 학습자 및 내용 간의 상호작용 시스템으로 이해합니다. 이는 교육이 단순히 지식 전달이 아니라 교사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며 공동으로 의미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 문맥 중심 교육: EIS 이론은 교육의 문맥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교육은 특정 문맥에서 이루어지며, 그 문맥 내에서 의미와 지식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교육 프로그램 및 내용은 학습자의 경험과 문맥에 적합해야 합니다.
- 배우고자의 활동 강조: EIS 이론은 학습자의 활동을 강조합니다. 학습자는 교육 과정에서 활발하게 참여하며, 자신의 경험과 이해를 통해 지식을 구축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더 나은 이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의미 부여: EIS 이론은 학습자가 의미를 부여하고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을 중시합니다. 학습은 단순한 정보 수용이 아니라, 의미를 만들고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하며 이루어집니다.
- 소셜 인터액션의 중요성: EIS 이론은 소셜 인터액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들끼리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이 공동으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소셜 인터액션은 학습 과정을 풍부하게 합니다.
- 발견 학습 강조: EIS 이론은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발견 학습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중시합니다. 학습자는 문제 해결 및 탐구를 통해 지식을 활용하고 발전시킵니다.
EIS 이론은 교육학 분야에서 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고 교육 과정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이론을 적용하면 교사와 학습자 모두가 교육 과정을 보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경험하고, 지식을 효과적으로 구축하며,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상으로 브루너의 수학 학습 심리학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수학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제의 수학 학습 이론 (0) | 2023.10.26 |
---|---|
비고츠키의 수학 학습 이론 (0) | 2023.10.25 |
폴리아의 문제해결 (0) | 2023.10.20 |
수학 문제해결 지도의 역사 (1) | 2023.10.19 |
수학 문제해결 교육론 (문제와 문제유형) (0) | 2023.10.18 |